![]() | |
![]() |
![]() |
[연합뉴스]경기도민 54% 산업현장 산재 예방조치 잘 안 지켜져
산재발생 책임소재 '사업주' 49%, 정부·지자체 27%

[경기도 제공. 재판매 및 DB 금지]
(수원=연합뉴스) 이우성 기자 = 경기도민들은 산업 현장에서 대체로 산업재해 예방 조치가 잘 지켜지지 않는다고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.
경기도가 23일 발표한 산재 관련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산재 발생을 줄이기 위해 개선해야 할 사항으로 응답자의 31%가 위험 업무의 외주·하청 등 구조적 요인을 꼽았다.
그다음으로 '관계 법령·관리·감독 미흡 등 제도적 요인'(22%), '안전교육 부족·안전관리 불량 등 관리적 요인'(18%) 이라고 답했다.
산업 현장에서 산재가 발생할 경우 책임 소재를 묻는 항목에는 49%가 사업주 책임이라고 답했다. 이어 정부·지자체(27%), 노동자(17%) 순으로 책임이 있다고 밝혔다.
전체 응답자 중 최근 1년 내 산업 현장에서 일해 본 경험자는 34%였고, 이들의 절반가량은 현장에서 산재 예방 조치가 '잘 이행되지 않는다'고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.

[경기도 제공. 재판매 및 DB 금지]
세부 예방 조치별로 '잘 이행되지 않는다'는 응답률은 각각 ▲정부·지자체의 현장 점검 63% ▲노동자 산재 예방 교육 및 훈련 60% ▲중대 재해 발생 시 사업주 처벌 57% ▲안전관리자 배치 등 산재 예방 조치 54%였다.
경기도가 지난 4월부터 운영 중인 '노동 안전지킴이'에 대해서는 75%가 '잘한 결정'이라고 답했다.
노동 안전지킴이는 산업안전 보건 기준 위반, 안전재해 예방조치 위반 등을 점검하는 활동을 한다. 올해 시범적으로 산재 다발 지역인 수원·화성·김포 등 10개 시군을 대상으로 10명이 활동하고 있다.
이번 조사는 도가 여론조사기관인 리얼미터에 의뢰해 도민 2천명을 대상으로 4∼6일 자동응답 조사 방식으로 진행됐으며, 신뢰수준은 95%, 표본오차 ±2.2%P다.
gaonnuri@yna.co.kr
<저작권자(c) 연합뉴스, 무단 전재-재배포 금지>
출처: 연합뉴스




